Close

배당정책 방해

배당정책 방해
  • Published8월 1, 2021
당국은 더 이상 금융 부문을 통제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신한금융그룹의 배당정책을 놓고 금융당국과 신한금융그룹의 신경전이 벌어지면서 한국 금융업계에는 여전히 옛날 방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다시금 확인됐다. 신한코퍼레이션은 지난주 상반기 사상 최대 2조4400억원의 순이익을 기준으로 분기 배당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융위원회(FSC)는 어려운 경제 상황을 이유로 이동에 제동을 걸었다. 위원회는 “의견을 표명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금융위의 강력한 규제 권한을 감안할 때 이러한 말은 실용적인 문제였습니다.

신한은 모든 자회사가 균형 잡힌 성장을 보여 이익의 질을 개선했기 때문에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환원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 업계 최고 수준인 신한의 자산 건전성을 더욱 높여 분기 배당 분위기를 조성했다. 분기 배당은 배당금의 연간 변동 위험을 줄이고 주가 변동성을 줄여 안정적인 배당 기대로 더 많은 투자자를 유치하는 선진 금융 기술입니다.

이런 움직임을 환영하고 부추겼어야 하는 금융당국이 나서서 막아낸 것은 아이러니하다. 규제당국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이 지속되면서 자산의 안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투자자들에게 큰 이익을 주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궤변에 가깝습니다. 신한은 신주를 발행해 자본금을 1조6000억원으로 늘렸고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규제당국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과한 유일한 금융그룹이 됐다.

논란이 커지자 금감위는 “배당금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라며 반발했다. 다만 신한은행은 분기 배당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사회를 소집할 때 규제당국의 ‘의견’을 외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가장 큰 문제는 신한의 지분이 1도 없는 정부가 금융그룹의 배당정책에 계속 간섭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상장된 회사의 주주를 위한 적절한 정책을 방해하려는 다른 정부가 세계에 있는지 물어야 합니다. 그 배후에는 한국의 은행 부문을 통제하는 구식 관료적 방식에 대한 명백한 시도가 있습니다. 정책 입안자들이 계속해서 국가의 금융 산업에 간섭하려고 하면 이 분야에 희망이 없을 것입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