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한·중 간 무역적자의 원인이 무엇인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중 간 무역적자의 원인이 무엇인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 Published5월 19, 2024

삽화: Chen Xia/Global Times

한국과 중국 사이의 드문 무역 적자는 특히 첨단 기술 중간재 분야에서 경제 통합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시급한 필요성을 한국에 상기시켜야 합니다.

닛케이아시아는 월요일 잠정 무역 자료를 인용해 한국이 2023년 중국과 180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31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과의 양자 적자였다.

중국 세관 당국은 아직 12월 무역 수치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은 한국에 1359억 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출하고 1475억 달러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여전히 ​​116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누리고 있지만, 대중국 수출은 11개월간 20.1% 감소해 한국 경제에도 악재로 작용했다.

일각에서는 한국 수출의 10% 이상 감소에 주목하고 단기적인 변동성을 예상하는 반면, 수입과 수출에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한-중 무역의 뿌리 깊은 원동력에 대해서는 관심이 덜 쏠렸다. 수출. 가져오기 구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중간재를 중심으로 한 무역 모델이 발전하면서 한중 무역은 황금기를 누렸다. 한국은 장비와 핵심 부품 등 중간재를 생산해 중국에 수출하고, 가공기지에서 최종 제품으로 조립해 세계로 수출했다. 그러나 이 공급망은 변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이 수출 우위에 있는 지역에서는 중국 제조업의 경쟁력이 그 어느 때보다 눈에 띄게 향상됐다. 미국 칩 기술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제한하려는 미국의 노력은 중국의 지속적인 기술 발전 의지를 자극하여 중국의 기술 경쟁력을 향상시켰습니다.

이제 중국은 중간제품의 공급원으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이 전통적인 중간재를 넘어 새로운 수출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함을 의미한다.

반면, 한국의 장비 및 기본 부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자재 수입은 증가했습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국내에서 신에너지 배터리, 반도체, 자동차, 항공부품 제조에 사용되는 기초소재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일부 비관론자들은 지난해가 중국과 한국 무역의 전환점이 되었을 수도 있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한국의 무역 적자가 오랫동안 지속될 수도 있고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합니다. 만약 이 예측이 현실이 된다면 한국 경제에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READ  한국의 수출은 공급망 문제, 경제 뉴스 및 주요 뉴스에도 불구하고 10월 초 데이터에서 급증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수출 의존도가 높은 선진국 중 하나로, 2021년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이 GDP의 35.6%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수출 대상 중 하나입니다. 한때 중국으로의 수출은 전체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일부 서구 관측자들은 한국이 12월에 미국에 113억 달러 상당의 상품을 판매한 데 비해 중국에 109억 달러 상당의 상품을 판매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이 대중국 수출을 앞지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한국의 대중국 수출 감소로 인한 경제적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전반적으로 한국은 2023년 2년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수출은 1년 전보다 7.4% 감소한 6326억9000만 달러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한국 경제가 직면한 과제로 인해 한국은 중국과 한국 간의 무역 잠재력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합니다. 2022년 말부터 한국에서는 기술 혁신을 강화하고 공급망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한국에서 등장했다.

또 중국이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의존하고 있는 첨단기술 중간재 수출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국이 제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부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전통제품과 품질이 낮은 중간제품.

이러한 발전은 한국 관리들의 심각한 관심을 받을 만합니다. 왜냐하면 이는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한중 간의 경제, 특히 기술 협력에 대한 제한을 완화해야 할 필요성을 우리 모두에게 상기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이 미국의 장기 관할권과 악의적인 기술 전쟁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하는 데 더 많은 용기를 보여야 합니다.

저자는 환구시보(Global Times)의 특파원이다. [email protected]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