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KBS 영상에 출연하는 와그너 교수, 1985년

KBS 영상에 출연하는 와그너 교수, 1985년
  • Published7월 7, 2024

마크 피터슨

최근 동료 중 한 명이 대학원 시대의 지도교관 에드워드 와그너가 1985년 KBS 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때의 녹화를 발견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에서의 자신의 일과 한국어 프로그램의 발전에 대해 인터뷰를 받았다. 나는 그 비디오를 보고, 젊고 건강한 교수이자 친구였던 바그너의 모습을 보고, 매우 기뻐졌다. 그와의 마지막 추억은 알츠하이머병으로 고생하고 있던 그를 노인 개호 시설에 방문했을 때이다. 지금 대학원 세미나에서 한국의 역사를 가르쳐 준 그보다 조금 나이 든 60세의 젊은 그를 보면 즐거운 추억이 잇달아 부활해 온다.

바그너 교수는 항상 쾌활했습니다. 인터뷰에서는 평소 겸손한 코멘트를 하면서 웃고, 주어진 질문에서 아이러니를 끌어내거나, 논의의 흥미로운 전개를 찾아내고 있었습니다. 바그너 교수는 무엇보다도 우선 명명이었습니다. 그리고 근면했습니다. 이 모든 특징은 TV 인터뷰에 나타났습니다.

나는 그의 한국어 능력에 다시 감명을 받았다. 그는 천천히, 명확하고, 무엇보다 정확하게 말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문맥에서 각 단어의 의미와 뉘앙스를 분석하면서 문장을 깊게 파고 이해하고 있던 수업을 상기시켰다. 우리는 역사서와 문학서를 배웠습니다. 언어를 정말 깊게 연구하고 배우는 것은 엄청난 기쁨이었습니다.

그는 만년에 많은 연구를 보낸 “그” 프로젝트, 즉 “문과” 프로젝트에 대해 물었다. 문과란, 조선왕조 500년간에 실시된 고등관료시험인 문과시험에 합격한 15,000명의 남성을 철저히 평가하는 프로젝트이다. 그는 자신의 연구가 진행된 당시를 컴퓨터가 처음 등장한 시대라고 말했다. 컴퓨터를 사용하면 이러한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고 이해할 수 있다. 시험에 합격한 15,000명에 더하여, 시험명부에는, 교장의 아버지, 형제, 거주지, 「보관」, 나이, 그 외의 몇개의 데이터 등, 마지막 왕조의 엘리트 구조를 형성해, 설명한다 에 도움이 되는 추가 정보도 기재되어 있었다. 그는 이러한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사회의 엘리트 구조를 설명하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습니다.

그는 데이터를 물어보고 싶었고 많은 양의 데이터에서 새로운 질문이 떠올랐다. 예를 들면, 거주지 데이터로부터 어느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성공률이 높고 어느 지역이 과소평가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연령 데이터로부터, 시험에 합격한 최연소자는 불과 17세, 최연장자는 77세인 것을 알았다. 명부에는, 어느 해의 합격자도 모두 기재되어 있어, 표준은 33명이지만, 특별 시험에서는 합격자수가 7명이라고 하는 적이었다. 보통 시험은 3년마다 실시되었지만, 법원은 연 1회, 드물게 연 2회 시험을 실시하는 특별한 이유를 발견했다.

READ  카말라 해리스 미 부통령, 북한 미사일 실험 후 한국에 상륙

시험 합격자끼리를 연결하고 있던 것은 혼인 관계였고, 그것이 와그너를 ‘가보’, 즉 한국의 상류계급의 기록인 계보본으로 이끌었다. 바그너는 시험 합격자에 관한 연구보다 이 부차적인 분야에서 일반 사회에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그는 한국의 계보를 알고 있었다.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그는 한국의 가보가 시대와 함께 어떻게 변화했는지 이야기했다.

그는 조선 왕조에서 조선의 조인의 변천에 대해 말했다. 첫째로 간행된 조인은 1476년 안동권 조인이다. 그의 역사 기록이나 개인 기록에는 단편적인 계도 기록이 남아 있었지만, 대가족 그룹의 기록을 출판하려고 한 최초의 시도는 권가에 의한 것이었다. 조인은 어느 시점에서의 사회의 개요이며, 어느 시점에서의 가족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과 같은 것이다. 와그너는 이 첫번째 조인이 나중에 조인에서 매우 흔한 ‘입양’이 없고, 아들이 없는 남성 모두에게 대가족의 일원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이 초기 조寅는 단순히 ‘후계자 없음’이라고 보여주었다고 지적했다. 이후 세대에서는 이러한 표기는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와그너는 1535년 출판된 ‘문화유족보’에는 120개의 입양이 기록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권의 기록은 3권으로 이루어져, 약 1만명의 이름이 실려 있었지만, 「유족보」는 10권으로 이루어져, 4만 6천명의 이름이 실려 있었다. 입양이 겨우 120건이라는 것은 조상을 위해 유교의 의식을 하기 위해 흔적을 낳는 이상이 딱 싹트기 시작했을 무렵이었음을 보여준다. 후세대 19세기에는 어느 유족보의 15%에도 입양의 흔적이 있었다. 유족보는 한국에서 유교신앙의 성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들은 1985년의 KBS 인터뷰에서 바그너 교수가 말한 포인트의 일부입니다. 저는 이 인터뷰를 보고 매우 기쁘게 생각했고, 이 동영상의 일부를 내 YouTube 채널에서 소개했습니다. 모두 위대한 학자에게 찬사입니다.

마크 피터슨 ([email protected])은 유타 주 브리검 영 대학교의 한국어, 아시아 및 근동 언어의 명예 교수입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