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Kyong-hee] 아베 씨는 역사의 전쟁인가 진실의 전쟁인가?
마찬가지로 사도의 금광과 은광에서 강제 노동을 했던 한국의 전시 노동자들은 무시당하고 있다. 2월 1일 일본은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함으로써 이미 취약한 한일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고, 현재 진행 중인 역사적 오류에 대한 논쟁이 빠른 시일 내에 해결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가 뒤에서 밀어붙였다. 아베의 고향은 야마구치이며 집권 자민당에서 그의 영향력 있는 우익 추종자들은 수정주의 역사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야마구치 현의 참사는 오비 시에서 1km 떨어진 해저에 있던 추세이 탄광과 관련이 있습니다. 1942년 2월 3일 광산이 무너지고 터널이 즉시 가라앉았습니다. 모든 광부(한국인 136명, 일본인 47명)가 사망했습니다.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고 광산은 사고 직후 폐쇄됐다. 일본 언론은 재난에 대한 신속한 보도만을 제공했습니다.
광부들을 추모하기 위한 특별 조직을 이끄는 이노우에 요코는 유해를 수습하고 가족에게 돌려줌으로써 그들의 존엄성을 회복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광부들의 후손들은 계속해서 일본 정부와 협상을 벌일 것이라고 그녀는 말했다.
2013년에는 한일가족이 추시광산 주변에 일본인과 한국인의 묘비를 세웠다. 한국 오벨리스크에는 한국인 희생자들이 광산으로 “강제 이동”되었다고 나와 있는데, 이는 일본 정부가 전시 한국인 강제 징용을 계속 부인한 것과 대조된다.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메이지 산업혁명 유적지와 마찬가지로 사도 광산 후보로 인해 광산 강제 노동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메이지 유적지에 포함된 광산은 다음과 같다. 하시마 또는 바지섬의 악명 높은 탄광에서 그는 잔인한 환경에서 수백 명의 한국인을 일했습니다. 일본은 사이트의 전체 역사를 제공하기 위해 당사자 간의 대화를 개최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지금까지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처음에 사도 광산을 추천하는 것은 한국과의 전시 노동 논쟁을 악화시킬 것임을 알고 피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참의원 선거가 7월로 예정되어 있고 정치적 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에 기시다 총리는 아베의 압력을 무시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아베에게 사도 광산에 대한 유네스코의 인정은 침체된 지역 경제에 대한 관광 가치를 감안할 때 정치 캠페인을 위한 좋은 사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조선인들이 벌인 역사전쟁”에서 물러서지 말고 “사실대로 대응하라”고 촉구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의 입장은 이미 ‘진실과의 전쟁’을 벌인다는 평판을 얻었다. 그의 “사실”은 종종 “진실”과 거리가 먼 것처럼 보입니다.
일본 정부를 외면하고 어조를 거슬려도 일본 사회에는 양심적인 시민이 부족한 것 같지 않다. 그들은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고 정의와 인권이라는 이름으로 일본 제국의 전시 잘못의 희생자들에게 동정을 표합니다.
전직 라디오 기자에서 영화 감독으로 변신한 니시지마 신지의 다큐멘터리 ‘타겟’은 1991년 고 김학-곧 전직 아사히신문의 전 기자 우에무라 다카시의 시련을 추적한다. “위안부” 앞으로 나오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매춘업소에서의 지옥 같은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2021년 부산국제영화제에 출품된 니시지마 감독은 “우에무라 씨의 특종을 받고 며칠 뒤 김 씨에 대해 취재했다. 당시 일본의 우익 민족주의자들은 왜 요무라와 그의 신문을 위협의 유일한 대상으로 삼았는지 영화를 통해 묻고 싶었다”고 말했다.
Uemura 자신은 1990년 여름에 자신의 신문인 Summer Peace Project에서 증언할 일본군 위안소 시스템의 희생자를 찾기 위해 애썼던 것을 회상합니다. 이 비밀스러운 여성 중 누구도 자신의 과거를 공개적으로 말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한국 사회 전체는 이 문제에 대해 침묵했습니다. 이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운동을 시작한 인권 운동가이자 아이오와 여자 대학교의 윤충옥 교수는 우에무라에게 김 교수의 등록 학위를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국가 당국이나 취득한 권리에 의해 훼손된 정의를 회복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려고 하는지는 개인마다 다릅니다. 일본 후쿠오카에서는 한 달에 한 번 수십 명의 일본인이 모여 윤동주(1917-1945)의 시를 읽고 그의 시와 시대, 한일 관계에 대해 토론합니다.
참가자들은 윤씨의 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한국어와 일본어로 낭송하고 윤씨의 필적 원시를 연구하여 해석합니다. 마나기 미키코(Mikiko Managi)는 2019년 한국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회담은 우리 자신과 양국의 역사를 마주할 수 있는 배움과 자기 성찰의 귀중한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2002년부터.
광복을 불과 몇 달 앞둔 1945년 2월 16일 윤씨는 후쿠오카의 교도소에서 불가사의한 상황 속에서 숨을 거두었다. 증오는 이해보다 쉽습니다. 얼어붙은 두 이웃의 관계를 녹이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대화가 필요합니다. 양국 정상은 대화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야 합니다.
이경희
이경희 전 코리아헤럴드 편집장. 현재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발행하는 한국문화예술 계간지 코리아나(Koreaa)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 그래서.
코리아헤럴드 작성 ([email protected])
“열정적 인 TV 애호가. 미묘하게 매력적인 음악 애호가. 사악한 여행 전문가. 워너비 웹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