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한반도 평화공존을 위한 2국가 체제 재검토

한반도 평화공존을 위한 2국가 체제 재검토
  • Published1월 23, 2024

평화공존의 필요조건으로서의 2국가 체제

냉전시대 한국과 북한은 한반도 통일의 주도국이 되기 위해 정통성과 지배권을 찾아 끊임없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양측이 독립국가로서 존재할 권리를 상대방에게 부정하고 독자적인 조건으로 통일을 추구했기 때문에 한반도는 끊임없이 분쟁에 시달리고 군사 충돌.

1948년 건국 후 한국은 반도에서 유일한 합법국가로 인정받도록 유엔 회원을 우선했다. 한편 북한은 유엔에 따로 가맹하고 있는 것이 분단을 영속시키는 것으로 비판했다. 그 대신 북한은 단일의석을 가진 통일연방공화국으로 유엔에 가입할 것을 주장했다. 북한은 또한 소련과 중국의 원조를 얻어 한국이 단독으로 유엔 가입을 목표로 하는 것을 저지했다.

그러나 냉전의 종결은 한국에 새로운 기회를 주었다. 1990년 한국과 국교를 정상화한 뒤 소련은 한국 유엔 가맹에 거부권을 발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하고 이듬해 중국도 추종했다. 유엔에서 떠나는 것을 두려워한 북한은 갑자기 입장을 바꾸고 1991년 9월 한국과 함께 유엔에 가입했다.

한국과 북한의 유엔 동시 가맹으로 반도에 2국가 체제 시대가 시작됐다. 양국은 유엔 헌장하에 합법적인 주권국가로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그 후 남북의 평화공존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2023년 5월 현재 192개국이 한국과 외교관계를 갖고 159개국이 북한과 156개국이 양국과 동시에 외교관계를 맺고 있다. 즉, 156개국이 양국을 별도의 독립된 주권국가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남북관계는 더욱 복잡했다. 1991 년 12 월 양국은 “남북한간의 화해·불가침·교류협력에 관한 협정'기본 합의'로도 알려져 있지만, 그 중 남북 관계는 '국가 간의 관계가 아니라 통일을 향한 과정에서 생기는 특별한 잠정적인 관계'로 정의되고 있다. 기본 합의의 협상 중에 북한은 전통적인 민족주의적 통일의 레트릭을 유지하고 국가간 관계의 성문화에 반대했다. 그 결과 양국은 냉전 후 남북관계를 2국가 체제에 근거한 평화공존으로 재정의할 수 없었다.

냉전 후 시대가 진행되면서 한국 경제가 북한의 50배를 넘을 때까지 성장하면 위기에 빠진 북한은 한국에 의한 '흡수통일'에 대한 우려도 있어 문호를 보다 엄격히 닫아 핵개발 계획에 착수했다. . 이 변화로 2국가 체제에 근거한 평화공존의 짧은 기회는 끝났다. 김정일 치세(1994년~2011년)에는 통일경쟁은 그다지 엄격하지 않았지만, 남북대화와 미·북핵 협상이 간헐적으로 진전했기 때문에 북한은 핵무기 개발을 완전히 중단하지 않았다. 했다. 남부에 흡수되는 것을 두려워.

북한이 2006년 첫 핵실험 이후 핵무기 개발을 계속하는 가운데 반도는 통일경쟁의 새로운 단계에 들어갔지만 이제 핵사용 위협도 수반하게 됐다. 북한의 핵무장은 한국에게 존망에 관련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주로 보수정권하에 있는 한국은 대규모 군비증강, 북한의 핵미사일에 대한 선제공격 원칙, 미국의 전략적 자산 시연 자주 요청 등의 대응을 강요했다. 미한원자력협의그룹의 발족. 현재 남북이 통일경쟁에 휘말려 미·북 관계가 적대적인 막힘에 빠지기 때문에 남북 간의 치열한 안보경쟁과 군확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2국가체제는 통일경쟁을 완화하고 평화공존을 촉진하고 반도 안보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법적 및 정치적 틀을 확립할 것이다.하지만 전문가 과거에도 2국가 체제에 대해 검토해 왔지만, 한국의 국가주의를 고려하면 2국가 체제는 반국가주의, 반통일, 반헌법이라는 비판이 있어 국민의 논의는 민감해지고 있다. 헌법의 규정 한반도 전체를 영토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분쟁, 특히 핵 위험이 크고 통일 가능성이 매우 낮은 오늘날의 환경에서는 양국체제가 진지하게 검토할 가치가 있다.

두 상태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첫째, 양국은 2국가 체제를 중심으로 각국 정책을 조직해야 한다. 남북 가운데 국력이 크고 국제적 지위가 높은 한국은 1991년과 마찬가지로 2국가 체제를 향한 남북대화를 개최해야 한다. 1991년 기본 합의로 2국가 체제를 제도화할 준비가 됐다.한국 공작원을 징병한 전 통일상 겸 총리 이홍국 씨 통일 계획 1989년, 그는 2015년에 “당시 정부가 어떻게 2국가 체제를 추진하고 있었는가”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회상했다.부문 체계화한국의 민족공동체통일계획은 한반도에 있어서의 2국가 체제의 제도화를 규정하고 있어 이에 따라 남북이 상당한 기간에 걸쳐 공존하고 협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독일의 2국가 해결책의 한국판은 1991년의 기본 협정으로 연결되어 유엔의 동시 회원국이기도 한 이씨는 전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남북은 중지된 2국가 제도의 계획을 재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둘째, 한국은 김정은 정권이 최근 전통적인 민족주의적이고 통일된 리트릭을 포기한 것을 이용하여 국가 중심의 북한에 대해 2국가 체제를 끌어올릴 기회로서의 입장이다. 2023년 말 당총회에서 김씨는 처음 통일을 포기한 북한의 남북정책의 명확한 목표로 통일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발표는 북한이 한국을 다른 교전국가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전 징후에 이은 것이다. 2018년 북한은 통일과 국내 협력을 요구하는 전통적인 호소를 포기하고 대신 승진 「우리나라 제일」 「우리 국인민(북한인) 제일」의 슬로건. 최근 북한 지도부는 이례적으로 한국에 자국의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정식명칭,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남조선' 또는 '傀儡政権'이 아닌 '대한민국'. 2023년 7월 북한은 남북문제를 담당하는 기관이 아닌 외무성이 한국 사업가 방북 제안에 관한 성명을 발표하고 다시 주목을 받았다. 북한이 정말 한국을 '적대자'로 취급하고 있는지 여부는 아직 모른다. 외국 분리된 절반이 아니라. 한국은 여전히 ​​이 국가 중심의 전환을 통일과 지배를 두고 경쟁하는 예측 불가능한 감정적인 관계가 아니라 유엔 헌장과 국제법에 근거하여 평화공존을 위한 정상적인 국가간 관계를 구축할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남북은 영구적인 평화가 달성될 때까지 통일을 연기하면서 2국가 체제를 성문화하는 기본조약을 체결해야 한다.새로운 기본조약은 그 대부분을 계승하게 된다 요소 1991년의 기본 합의에는, 서로의 체제의 인식과 존중, 내정 불간섭, 불가침, 중상이나 중상의 금지, 상대의 체제의 방해 행위나 전복의 금지등이 포함되어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새로운 조약이 각국의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완전한 국가권, 주권, 영토보전 1972년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관리하에 기본조약 두 독일 사이. 기본조약의 국제법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양국 정상이 서명하여 양국의 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등록됨 유엔 헌장 제 102 조에 따라 유엔 사무국의 국제 조약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넷째, 반도의 2국가 체제와 평화공존을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주요 이해관계국, 특히 미국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국의 전 총리인 이씨는 1990년대 초에 2국가 체제가 정착하지 않은 것은 “당시 패권국인 미국이 국제적인 보증을 제공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 미국과 북한은 2018년 싱가포르 공동성명을 포함한 지금까지 모든 핵합의에서 관계정상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합의해 왔지만, 이러한 약속은 반복 이행할 수 없었다.

남북기본조약과 미조국교 정상화의 협상은 지극히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계자는 남북 간의 통일경쟁으로 인한 안보 딜레마를 해결하고 핵이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실현하기 위해 이러한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