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북한의 온라인 IT 박람회

북한의 온라인 IT 박람회
  • Published1월 12, 2022

북한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응하여 많은 과학 기술 행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했습니다. 이 나라는 일반적으로 개발을 선보이고 연구원들이 아이디어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여러 기술 회의를 개최합니다.

10월 2일부터 29일까지 전국 최대 규모의 정보화 성과 전람회(전국 정보화 성과 전람회)가 온라인을 통해 열렸다. 국영 미디어에 따르면 260개 이상의 회사에서 약 1,200개의 발명품과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전시회에는 2D 및 3D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으며 후자는 가상 전시장과 방문객을 안내하는 안내 로봇을 특징으로 합니다. State TV는 11월 14일과 12월 29일 보고서에서 가상 전시 경험의 두 클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29일 KCTV 영상에서 본 애니메이션 로봇이 IT 성공 전시회 주변을 안내합니다(사진: KCTV)
2021년 12월 29일 KCTV 영상에서 본 애니메이션 로봇이 IT 성공 전시회 주변을 안내합니다(사진: KCTV)

비디오는 3D 공간에서 움직이는 로봇을 보여줍니다. 현관홀(위 사진의 파란색 부스)을 지나면 가장 먼저 보이는 부스 중 하나가 김섹공과대학(김책)이다. 대학은 북한의 주요 IT 개발 조직 중 하나입니다.

인공 지능

그리고 정부 언론은 행사에서 발표된 인공 지능과 관련된 발전에 대한 여러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11월 13일 국영TV는 김일성종합대학 정보과학부가 2021년 IT기업 10대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TV 방송국에서는 어떠한 발전도 보여주지 않았지만 여러 외국어로 작동하는 차량 번호판 인식 및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한 달 후인 12월 12일, 국영 텔레비전은 대학의 인공 지능 연구에 대해 다시 보도하고 대학이 개발한 안면 인식 시스템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이번에는 얼굴 인식 스테이션과 사용 중인 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처럼 보이는 컴퓨터 화면을 보고 있는 연구원의 스냅샷을 보여줍니다. 비디오를 자세히 살펴보면 작업자가 실제 작동하는 버전이 아니라 시스템의 데모 비디오를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단말기는 2019년에 얼굴 인식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으로 도입된 것과 매우 유사해 보입니다.

2021년 12월 12일 조선중앙TV에 방영된 안면인식 스테이션 (사진: KCTV)
연구원들이 2021년 12월 12일 조선중앙TV에서 방영된 안면인식 실증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이미지: KCTV)

국가정보기술성공전은 보통 매년 10월 평양에서 개최된다. 2016년부터 국영언론이 보도했지만 언제부터 시작됐는지는 불명. 하지만 지난해에는 보도가 없었기 때문에 팬데믹으로 행사가 취소됐을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는 정보 기술 분야의 연간 성공 상위 10개 이름이 포함됩니다. 이때까지 국영언론은 김일성종합대학과 아킴컴퓨터합작기업을 승자로 거론했다.

국가나노기술전시회

같은 달 말 전국 나노과학기술대전(전국 -2021)이 온라인으로 열렸다. 국영 언론에 따르면 이번 대회는 40회 이상의 온라인 전시회를 개최한 조선과학기술총연맹(조선)이 주최했다.

국영 텔레비전은 11월 14일 보도에서 그 전시회를 보여주었다.

2021년 11월 14일 KCTV에서 본 2021 국가나노과학기술대전 (사진: KCTV)
2021년 11월 14일 KCTV에서 본 2021 국가나노과학기술대전 (사진: KCTV)
2021년 11월 14일 KCTV에서 본 2021 국가나노과학기술대전 (사진: KCTV)

전국 인트라넷

온라인 전시회에는 연구원들이 자신의 작업을 발표할 수 있는 화상 회의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북한에는 내가 전에 쓴 ‘낙원’이라는 국가 화상회의 시스템이 있습니다.

Rakwon과 온라인 갤러리 뒤에는 대부분의 국가 기관, 교육 기관, 기업 및 공장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이는 국가의 국가 인트라넷이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연구자들이 과학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하는 방법으로 시작되었으며 이 사용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합니다. 화상 회의 및 원격 교육은 네트워크의 주요 용도입니다.

대부분의 북한 주민들은 집에 컴퓨터가 없기 때문에 직장 컴퓨터와 도서관 컴퓨터를 통해 액세스합니다.

원본 기사 보기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